티스토리 뷰
반응형
안녕하세요, 여러분!
2023년이 벌써 끝나가고 있습니다. 2024년부터는 어떤 정책들이 바뀌게 될까요? 오늘은 그 중에서도 청년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취약 청년
- 가족 돌봄 서비스 바우처 기간 12개월 확대
- 신체 건강, 정신건강 개선, 자기돌봄비 지원 (분기당 50만원, 연간 최대 200만원)
- 고립 은둔 청년 지원 (방문 상담, 공동생활 경험, 가족관계 회복 등)
자립기반
- 보호 종료 청년 자립수당 40만원 -> 50만원 인상
- NEET 청년 플랫폼 신설 (10개소, 총 6,000명 운영)
- 첨단산업 훈련 지원 확대 (반도체 및 이차전지 분야 2,450명)
- 한미 첨단 분야 청년교류 지원 (300명)
- 빈 일자리 취업 장려금 신설 (최대 200만원, 6개월 지원)
생활지원
- 대중교통 이용 요금 (k-pass)
- 기술 자격시험 응시료 최대 50% 할인 (연간 3회)
- 국가 장학금 (기초·차상위계층) 전액 지원
- 공동주택 분양 및 임대 확대 (분양 6.7만호, 임대 5.7만호)
군인
- 관사 및 간부 숙소 확대 (42,000개, 19,000개 신축)
- 복무 장려금 확대 (장교 900만원 -> 1,200만원, 부사관 750만원 -> 1,000만원)
- 병장 봉급 100만원 -> 125만원 인상
- 사회 진출 지원금 30만원 -> 40만원 인상
- 얼음 정수기, 플리스형 스웨터 지급
마무리
2024년부터는 청년을 위한 지원 정책이 크게 확대되고 있습니다. 특히 취약 청년, 자립기반, 생활지원 분야의 지원이 강화되었습니다.
청년 여러분, 2024년에는 정부의 지원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
추가 내용
- K-pass는 기존의 알뜰 교통카드와 달리, 전국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대중교통 이용 요금 할인은 2024년 7월부터 시행됩니다.
- 국가 장학금 전액 지원은 2024년 1학기부터 적용됩니다.
- 병장 봉급 인상은 2024년 1월부터 시행됩니다.
마지막으로
앞으로도 일상 및 맛집 포스팅과 함께 다양한 정부지원정책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. 감사합니다.
반응형
'건강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스웰리아: 사막의 진주, 관절 건강의 비밀 (0) | 2025.01.26 |
---|---|
온누리 상품권 제대로 쓰는 방법 (0) | 2025.01.13 |
대상별 최신 복지 혜택 정보(23년 11월 12일) (0) | 2023.11.12 |
전문가가 알려주는 효과적인 빈대잡기 전략 (0) | 2023.11.09 |
장시간 단식할때 발생하는 증상 (1) | 2023.09.28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